top of page
a.png

재택의료센터

장기요양 수급자는 의료 필요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거동 불편 등의 사유로 의료서비스 이용이 어려워 요양병원이나 시설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재택의료센터는 병원에 직접 가지 않아도, 집에서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입니다.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이나 만성질환을 가진 분들이 병원 방문 없이 안전하게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의사, 간호사 등이 집으로 방문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해드립니다.

어떤 분들이 서비스 대상일까요?

노인장기요양 재가 수급자 분들 중

거동이 불편하여 재택의료가 필요한 사람으로 의사가 판단한 경우

왜 필요할까요?

병원 방문이 힘든 분들    :   고령, 거동 불편, 퇴원 후 회복 중인 분들이 편리하게 치료 가능

지속적인 관리                   :   혈압, 혈당 관리, 상처 소독, 약 처방 등 꾸준한 관리가 필요할 때

응급 상황 예방                  :   건강 상태를 정기적으로 확인해 악화되기 전에 대처

어떤 서비스를 받을 수 있나요?

의사 왕진             :   의사가 직접 가정 방문해 진료

간호 서비스         :   주사, 상처 치료, 배액 관리 등

건강 모니터링    :   혈압, 혈당 측정 및 상담

처방 및 약 전달  :   필요한 약 처방 가능

연계 서비스        :    필요 시 재활, 장기요양 등 다른 복지 서비스와 연결

20250802_2328_가정 진료 장면_simple_compose_01k1njtatre90rj3mv8aqbkg5c.png

일차의료 방문진료

지역 내 의사가 거동이 불편하여 의료기관에 내원하기 어렵다고 판단한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의 *가정*을 직접 방문하여 진료와 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문진료 시범사업입니다.  

어떤 분들이 서비스 대상일까요?

질병・부상 및 출산 등으로 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할 필요성이 있으나 보행이 곤란 및 불가능하여 환자・보호자의 방문진료 요청이 있는 경우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 마비(뇌졸중 후유증, 지체장애 등)

  • 수술 직후 회복 중인 환자

  • 말기질환, 의료기기(인공호흡기 등) 장착 환자

  • 욕창·궤양·장애가 있는 환자

  • 치매·인지기능 저하 환자 및 일부 정신질환 환자

 

단. 거동이 불편하지 않은 환자도 환자나 환자 보호자가 요청하는 경우 방문진료를 실시할 수 있으나, 방문진료료 시범 수가 전액을 환자가 부담해야합니다.

왜 필요할까요?

병원 방문이 힘든 분들    :   고령, 거동 불편, 퇴원 후 회복 중인 분들이 편리하게 치료 가능

지속적인 관리                   :   혈압, 혈당 관리, 상처 소독, 약 처방 등 꾸준한 관리가 필요할 때

응급 상황 예방                  :   건강 상태를 정기적으로 확인해 악화되기 전에 대처

어떤 서비스를 받을 수 있나요?

  • 방문진찰 및 처방

  • 기본 검사 및 혈액검사 및 검체 채취 등.

  • 투약관리 및 주사 치료

  • 질환교육 및 상담

  • 필요 시 전문기관 의뢰

장애인 건강주치의

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해 건강 상태가 열악하며, 적절한 조기 진료 및 예방적 건강 관리의 어려움이 있습니다.  특히, 장애인의 의료비 부담, 이동 불편, 짧은 의사 대면 시간, 장애 이해 부족 등 의료 접근성의 한계로 시의적절한 치료 및 건강 관리 여건이 미흡하여 의료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있어 한 명의 담당 의사(주치의)가 장애인 분들의 만성‧예방‧장애 관련 건강을 지속적으로 관리해 주는 제도입니다.

     신청 대상

 ​등록 장애인이면 누구나 가능합니다.

  • 중증장애인 (1~3급)   : 일반건강관리 + 주장애관리(장애 전문 영역)

  • ​경증장애인 (4·5·6급) : 일반건강관리

​장애인 건강주치의를 선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장점

  • 필수적 의료서비스 이용의 접근성을 향상

장애로 인한 건강문제, 만성질환 등에 대한 관리 등 기존에 없었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여 장애인 본인의 건강행태 개선, 건강관리 역량 강화 등 미충족 의료수요를 충족

  •  거주 지역에서 1인 의사에게 지속적・포괄적 건강관리

건강문제의 예방적 관리 강화를 통해 만성질환 등으로 인한 합병증 및 2차 장애로의 이환을 방지

     방문 횟수 확대

  • 중증장애인 : 연 최대 24회 

  • 경증장애인 : 연 4회 이용 가능​

     어떻게 신청하나요?

 

​     장애인이 건강주치의 지정 병의원 방문

► 주치의 교육 이수한 의사에게 이용 신청 및 동의서 작성

► 병원에서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등록 처리

► 서비스 시작되면, 정기 진료 및 방문진료(필요 시) 가능

간호사와 휠체어에 환자

가정간호

​이제는 집에서 편하게 가정간호를 받으세요

가정 간호란 통원 치료가 불편한 분들을 위해 거동이 불편하거나 퇴원 후 지속적인 치료나 간호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의사의 처방에 따라 간호사가 환자의 집을 정기적으로 직접 방문하여 받을 수 있는 의료서비스입니다.

가정간호는 누가 받을 수 있을까요?

    ✔ 외래로 병원 방문이 어려운 경우

    ✔ 퇴원 후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경우

    ✔ 만성질환 관리가 필요한 경우

    ✔ 말기 암환자

    ✔ 치매나 정신질환 등으로 병원 이용이 곤란한 경우

예시

중증 거동불편, 고령자, 장기 와상 환자 등

욕창, 상처 소독, 중심정맥관리, 튜브교체 등

당뇨, 고혈압, 인공도뇨, 산소요법 등

통증조절, 임종돌봄 등

보호자 없는 독거 치매 어르신 등

가정간호는 어떤 좋은 점이 있을까요?

병원에 입원해서 받는 의료서비스를 가정에서도 받을 수 있으므로

  • 지속적인 치료와 간호

    거동이 불편한 환자도 가정에서 지속적으로 치료와 간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심리적 안정 및 가정생활 유지

    심리적으로 안정되고 평상시의 가정생활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의료비 절감

    의료비 및 간접 경비가 절감됩니다.

대표번호
​Mobile
FAX
E-Mail
​주소

042-710-6622
010-5801-5522
0505-654-1234
urizipdr@gmail.com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대로654번길 101 1층

copy rightⓒ 2025  우리집의원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